Blog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쉬운 정리 '5분 컬럼'과 기술 블로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1-04-13

Sprint, 직접 해본 이야기

2달 만에 자사 솔루션 MVP 만들기 (5명이서…) 자사 솔루션 개발이라는 프로젝트가 주어졌습니다. MVP(Minimum viable product)를 2개월 동안 개발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스프린트 방식으로 개발해보고자 […]
2021-04-09

Sprint, 왜 할까?

스프린트란? ‘짧은 거리를 전력 질주하다’ 라는 뜻의 Sprint, 개발에서는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요? 스프린트는 구글 수석디자이너 제이크 냅이 고안한 기획실행법으로, 팀원들과 토론을 통해 도출된 아이디어를 단기간 내에 […]
2021-04-01

클라우드 네이티브 간략히 알아보기

클라우드는 사용한 만큼 과금하고, 수 분 안에 필요한 자원을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 기업은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도입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나 […]
2021-02-17

Spot by NetApp 시작하기

Spot by NetApp은 3사 클라우드의 Spot Instance를 더욱 비용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비점유형 인스턴스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spot […]
2021-02-08

클라우드 네이티브란?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는 것이 시기상조라고 여겨질 때가 있었습니다. 그때에는 클라우드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 클라우드의 장점과 필요성에대해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왜(Why)’가 아닌, ‘어떻게(How) 사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
2020-11-16

AWS DMS를 활용하여 Oracle에서 MySQL로 DB 마이그레이션하기

시작하기 전에 현대차, 카카오, KT, 대한항공 등에서 촉발된 탈(脫) Oracle 프로젝트(escape from oracle)는 오픈소스 DB, 클라우드 DB의 안정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먼저 트렌드로 […]
2020-10-26

해커톤 참가자들에게 VM 77개 배포하기- DevTest Labs 사용기

171명 77팀을 대상으로 온라인 해커톤이 진행됐다. 우리 회사에서는 VSCodeSpace 기반 공동 개발 환경을 안내하고, 팀별 프로덕트 배포 및 데이터베이스 설치를 위한 VM을 제공해야 했다. 효율적인 […]
2020-09-18

서버리스는 어떤 서비스나 조직에 적합할까?

서버리스(Serverless)를 ‘서버가 없다’고 정의하고 시작한다면, 뒤에 나올 이야기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사실상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항시 가동 중인 가상머신 혹은 서버를 통해 작업이 처리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이는 서버 사양이나 인프라에 대한 부분을 신경 쓰지 않고 코드와 함수를 통해 주문하듯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는 말인데, 여기에 대해서는 아래 본문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우선 서버리스의 개념부터 차근차근 이해해 보도록 하자. 서버리스는 마치… 식당에 가면 종업원을 부르기 위한 벨이 있고, 종업원은 벨을 누른 테이블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업원은 항상 우리 테이블만 […]
2020-09-05

DevOps를 하려면 무엇부터 해야 할까?

‘데브옵스(DevOps)를 도입한 조직은 개발과 운영 업무를 통합하여 개발 주기를 앞당기고, 고객 서비스의 품질을 높인다’는 이야기를 어디서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름만 대면 아는 외국 기업들은 […]
Buy now

컬럼 블로그 
서버리스?  쿠버네티스?  DevOps?
Cloud 서비스는 날이 갈 수록 늘어나는데 누군가 쉽게 정리해서 설명해주길 바란다면, 클라우드메이트의 컬럼 블로그를 통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기술 블로그 
Cloud 서비스는 너무 복잡하다. 내가 직접 시행착오를 겪기엔 시간이 부족하다면,
클라우드메이트 전문가들이 직접 도입해본 경험기를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