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tory

고객의 클라우드 도입 성공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2022-04-07

E-mart

2020-09-09

Stryx

2020-07-16

슈가힐

2021-04-01

[Column] 클라우드 네이티브 간략히 알아보기

클라우드는 사용한 만큼 과금하고, 수 분 안에 필요한 자원을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 기업은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도입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나 […]
2021-02-17

[Tech] Spot by NetApp 시작하기

Spot by NetApp은 3사 클라우드의 Spot Instance를 더욱 비용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비점유형 인스턴스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spot […]
2020-10-26

[Tech] 해커톤 참가자들에게 VM 77개 배포하기- DevTest Labs 사용기

171명 77팀을 대상으로 온라인 해커톤이 진행됐다. 우리 회사에서는 VSCodeSpace 기반 공동 개발 환경을 안내하고, 팀별 프로덕트 배포 및 데이터베이스 설치를 위한 VM을 제공해야 했다. 효율적인 […]
2020-09-18

[Column] 서버리스는 어떤 서비스나 조직에 적합할까?

서버리스(Serverless)를 ‘서버가 없다’고 정의하고 시작한다면, 뒤에 나올 이야기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사실상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항시 가동 중인 가상머신 혹은 서버를 통해 작업이 처리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이는 서버 사양이나 인프라에 대한 부분을 신경 쓰지 않고 코드와 함수를 통해 주문하듯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는 말인데, 여기에 대해서는 아래 본문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우선 서버리스의 개념부터 차근차근 이해해 보도록 하자. 서버리스는 마치… 식당에 가면 종업원을 부르기 위한 벨이 있고, 종업원은 벨을 누른 테이블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업원은 항상 우리 테이블만 […]
2020-09-05

[Column] DevOps를 하려면 무엇부터 해야 할까?

‘데브옵스(DevOps)를 도입한 조직은 개발과 운영 업무를 통합하여 개발 주기를 앞당기고, 고객 서비스의 품질을 높인다’는 이야기를 어디서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름만 대면 아는 외국 기업들은 […]
2020-08-25

[Tech] 데린이의 Azure Machine Learning Designer로 유추 파이프라인 만들기

지난 포스팅에 이어 유추 파이프라인을 만들고 배포하는 과정을 소개하겠습니다. 1. 유추 파이프라인 만들기 모델을 훈련시키는 파이프라인을 만들고 실행한 후에는 훈련된 모델을 사용하여 새로운 데이터의 features를 […]
2020-08-24

[Tech] 데린이의 Azure Machine Learning Designer로 회귀 모델 만들기

이번 포스팅은 Azure Machine Learning 실습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모듈은 Azure Machine Learning을 사용하여 코드 없이 예측 모델 만들기 실습의 두 번째 모듈입니다. 1. 회귀란 […]
2020-08-19

[Tech] 데린이의 Azure Machine Learning 실습

이번 포스팅은 Azure Machine Learning 실습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모듈은 Azure Machine Learning을 사용하여 코드 없이 예측 모델 만들기 실습의 첫 번째 모듈입니다. 다양한 머신러닝 […]
2020-07-31

[Tech] Azure IoT Hub 시작하기 -3

IoT Hub에서 서비스 버스로 라우팅을 설정하고, Logic Apps를 이용해 메일 알람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장비의 이상 탐지를 위해 IoT Hub에서 특정 값이 있는 메시지를 Azure […]
Buy now